조문 예절 조문 위로말 및 복장과 순서

어렸을 때는 전혀 인연이 없는 곳이라 여겼지만 사회생활을 시작하면서 관혼상제 관련된 곳들을 찾아뵈야 할 일들이 꽤 생깁니다. 그 중 오늘은 장례식장 조문 예절 조문 위로말 및 복장과 순서 관련해 알아보면서 사회생활의 예절을 지켜 보도록 노력해 보겠습니다.


조문 복장

조문 예절 조문 절

돌아가신 분과 그 가족을 만나러 가야 하는 길인 장례식장 조문 예절 관련되어 가장 먼저는 복장 부터 알아봐야겠죠?


다들 아시겠지만 검은색 복장을 합니다. 남자의 경우는 검은 양복과 여자는 검은색의 얌전한 옷차림이 기본적인 조문 복장입니다.


하지만 혹시라도 갑자기 당한 일이라 검은색 정장의 옷이 없을 경우는 감색이나 짙은 회색 등 어두운 계열의 옷을 입어야 합니다.


남자분들은 스트라이프 등의 무늬는 없는 것으로 골라야 합니다. 그리고 향수도 뿌리지 않도록 합니다.


남자 조문 복장

깔끔한 블랙 정장, 흰 와이셔츠, 검은 넥타이, 검은 양말, 검은 구두 이렇게 까맣게 가능하면 입으시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조문 복장입니다. 검은색이 없다면 진한 회색이나 감색 등으로 준비합니다.


여자 조문 복장

남자와 마찬가지로 검은 복장이 기본입니다. 스커트를 입는다면 맨 다리보다는 검은 스타킹을 신어야 하며 바지를 입는 경우는 긴 바지를 착용하도록 합니다. 신발 또한 검정색으로 그리고 가방이나 핸드백 또한 검정색이어야 합니다.


메이크업은 화려하지 않도록 가능하면 거의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악세사리도 어지간하면 다 빼는 것이 좋습니다.


조문 예절 중 위로말

조문 예절 중 가장 신경 쓰이는 것 중 하나인 듯 합니다. 어떻게 어떤 말을 해야 하는지는 상주 또는 돌아가신 분과 자신과의 관계에 따라 약간은 다를 수 있습니다.


특히 가까운 사람이 돌아가셨거나 상주가 너무 친한 사람일 경우는 더 어떻게 위로말 해야 할지 모르겠다 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또한 너무 격식을 차린 말은 들어본 적도 없어 해 본 적은 더더욱 없어서 입에 붙지 않는데요, 무난하게 사용할 수 있을만한 조문 위로말은 무엇이 있을까요?


삼가 조의를 표합니다.

삼가 조의를 표하며 명복의 빕니다.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상심이 크시겠습니다.

무어라 위로의 말씀을 드려야 할 지 모르겠습니다.

어떤 말로도 위로가 되시지 않겠지만 삼가 위로의 말씀드립니다.

깊은 애도를 드립니다.

안타까운 소식에 슬픈 마음을 금할 길 없습니다.

진심 어린 마음으로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부디 좋은 곳에서 평안하시길 바랍니다.


만약 부모님이 돌아가셨다면 망극한 일로 인해 어떤 위로의 말씀을 드려야 할 지 모르겠습니다. 삼가 조의를 표합니다.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등의 조문 위로말을 하게 됩니다. 망극이라는 단어는 부모상에서만 사용합니다.


조문 예절 조문 순서

조문 예절 중 가장 익숙하지 않는 것이겠죠? 어떤 순서로 진행해야 하는지 모르겠다, 막상 가면 외워갔던 것도 잊어버리기도 하는데요, 기본은 남들 하는 대로 따라하면 가장 무난합니다.


조문 예절 중 시기

언제 조문 가면 되는지가 궁금한 분도 있을텐데요, 가족, 친척은 물론 친한 친구에게서의 부고 소식이라면 가능한한 빨리 가는 것이 좋습니다. 함께 슬픔을 나누기도 하고 도움을 줄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그리 친하지는 않았던 지인이나 직장 관련의 부고 소식이었다면 이튿날 방문하시는 것이 더 좋습니다. 초상 첫날은 그 일을 당한 사람들도 경황이 없고 바쁘기 때문에 가능하면 이틀째 되는 날 조문 하는 것이 좋습니다.


조문 예절 찾다보면 부조금 관련한 이야기도 나옵니다.


조문 예절 부조금

홀수로 준비합니다. 최소 3만원부터 시작해서 5, 7, 9 등이겠지만 보통은 3만원, 5만원, 10만원 이상이 일반적인 부조금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장례식장에 봉투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미리 준비하지 않아도 됩니다.


봉투에 부의 (賻儀)라고 쓰여져 있는 부분은 앞면이므로 뒷면 아래에 본인의 이름을 쓰고 부의 봉투는 윗부분을 접지 않습니다.


그리고 부조금은 새 지폐보다는 헌 지폐를 넣는 것이 좋습니다.


조문 예절 조문 순서

장례식장 도착 후 옷매무새를 잘 정돈하고 입구에서 부의록을 작성한 후 부의금, 부조금을 냅니다.


빈소에 올라갈 때는 모자와 외투나 패딩 등 겉옷을 미리 벗고 들어가는 것이 예의이므로 부의금을 낼 때 미리 벗어두면 좋습니다.


헌화를 할 때는 오른 손으로 꽃을 들고 꽃 끝봉오리가 영정을 향하게 해서 제단에 올려 놓습니다.


분향을 할 때는 향을 집어 촛불에 대고 불을 붙인 후 손으로 바람을 내서 불을 끕니다. 절대로 입으로 후 불어서 끄지 않도록 합니다. 가장 기본적인 조문 예절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향 불은 입으로 불어서 끄지 않습니다. 이것은 제사나 차례 지낼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여러명이 한꺼번에 문상을 한다면 위와 같은 헌화와 분향은 대표자 한 명이 하면 됩니다.


분향과 헌화가 끝난 후 영정사진 앞에서 절을 합니다. 기독교인 경우는 묵념을 하기도 합니다.


절하는 방법은 분향 후 2,3걸음 뒤로 물러서서 두번 절을 합니다. 손을 모아 눈높이로 올린 후 한다리를 뒤로 빼면서 한 손으로 바닥을 짚습니다. 그리고 몸을 앞으로 깊이 숙여 절하면 됩니다.


이때 남자는 오른손이 위, 여자는 왼손이 위로 가게 공수하면 됩니다. 하지만 요즘은 이렇게까지 다 따져볼 필요는 없습니다.


절을 두번 하고 반절을 하는 2.5배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묵념 또는 절이 끝난 후 상주와 맞절을 하고 위로의 말을 건넵니다.


마무리

이렇게 가장 간단하게 볼 수 있는 조문 예절 조문 위로말 및 복장과 순서 등을 살펴보았습니다. 나이가 들수록 무탈한 하루가 얼마나 소중한 지 와닿습니다,


조문과 관련되어 이번 포스팅은 조문을 하러 가는 사람의 입장을 살펴보았다면 다음 포스팅에서는 상을 당한 사람의 입장에서 살펴보아야할 것은 무엇이 있는지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